PROJECT
-
HOUSE_정미소
MYEONMOK SINGLE-FAMILY HOUSE_ 설계개요 건물위치 Location: 서울시 중랑구 면목동 / Myeonmok-dong, Jungnagn-gu, Seoul, Republic of Korea 건축형태 Type: 신축 / New-built 건축용도 Programme: 단독주택 / Single Family House 주요구조 Main Structure: 스틸하우스조 / CFS (Cold Form System) 대지면적 Site area: 61.07m2 건축면적 Building area: 31.15m2 연면적 Total floor area: 73.98m2 규모 Building scope: 3층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1.01% 용적률 Floor area ratio..
-
REAM HOUSE
MOKDONG MULTI-FAMILY HOUSE_ 목동 다가구 주택 'REAM HOUSE' 4인 가족을 위한 1가구 + 수익형 임대2가구 + 근린생활시설로 구성되어 있는 대지면적 약40평, 건축면적 24평, 전체연면적 70평, 4층 규모의 다가구 주택으로 건축업을 하고 있는 건축주와 설계과정 내내 조금 더 건축적인 언어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진행했고 이러한 소통과정이 이번 프로젝트의 조금은 다른 깊이와 재미를 주었습니다. 설계개요 건축사무소 Architects (디자인 사무소 Designer): 건축사사무소 틔움 / TIUM Architects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책임 디자이너 Designer in Charge): 차석헌 Cha seok heon / 강성진 Kang sun..
-
HOUSE_슴 (여서재)
TAEPYEONG SINGLE-FAMILY HOUSE_ 태평동 단독주택 : 슴 도시에서 대지; 전망 맛집 도시의 끝자락, 도시의 경사를 따라 공원이 시작되기 전에 위치한 대지는 도시전경을 한눈에 내려 보는 전망을 갖고 있습니다. 남측으로는 도시전망, 북측으로는 가까이 자연환경을 담을 수 있는 공원이 바로 마주하고 있습니다. 도시생활과 자연환경을 함께 누리는 장점과 접근성이 조금 떨어진다는 단점을 함께 갖고 있는 대지 입니다. 거주자의 생활방식에 따라 호불호가 나뉠수도 있습니다. 설계개요 건축사무소 Architects (디자인 사무소 Designer): 건축사사무소 틔움 / TIUM Architects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책임 디자이너 Designer in Charge): 차..
-
OGEUM_Layered: 레이어드
오금동 다가구주택 'Layered (레이어드)' '정면에서 바라보는 첫모습은' 세로로 긴 복층형 로우하우스(row house) 처럼 독립된 집의 집합체를 그렸습니다. 정면 도로에서 바라볼때, 3개의 집이 붙어 있는 모습입니다. 왼쪽부터 차례대로 직사각형 집과 두개의 사다리꼴형 집이 보입니다. 두개의 사다리꼴 집 사이에는 외부로 돌출된 작은 계단실이 있습니다. 계단실을 기준으로 두개의 사다리꼴 집은 10도 벌어져 있어요. 보는 시점에 따라 집의 정면이 다르게 보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세로로 보이는 집의 1층과 2층사이에, 가로로 긴 보이드를 적용, 상층부와 저층부를 나눕니다. 이러한 건축적 비례와 리듬을 통해 수평성이 강조된 저층부와 공중으로 부유하는 상층부가 형성됩니다. 외부계단실은 세로로 긴 보이드가..
-
HOUSE_'이이공(利怡共)'
DANGSAN SINGLE-FAMILY HOUSE_ 당산동 협소주택 '이이공(利怡共)' INTRO 준공업 지역 아파트 단지와, 다세대 및 다가구 주택으로 둘러싸인 대지에는 단층의 합벽 건축으로 이루어진 노후 건축물이 자리 잡고 있었다. 도심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 대지의 작은 면적도 설계의 제한사항이었지만, 가장 큰 어려움은 노후 건축물을 절단, 분리하여 틈을 만드는 작업이었다. 이웃집의 절단면을 보수하고 바탕을 만드는 작업으로 계획이 시작되었고, 여러 제한사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작은 틈에 본인의 터를 꾸리겠다는 건축주의 의지를 담아 2인 가족을 위한 작은 안식처를 계획하였다. 이번 작은집, 협소주택 프로젝트의 가장 큰 이슈는 13평 남짓한 대지면적에 8평의 건축면적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상가를 ..
-
JAYANG_'243'
JAYANG MULTI-FAMILY HOUSE_ 자양동 다가구주택 '243(이사삼)' 소형임대주택 (원룸주거 시작) 임대주거 시장에서 중요한 사업성은 주변 부동산시장의 흐름을 잘 읽어 적합한 상품(?)을 만드는 일과 쾌적한 거주환경을 구현하는 일을 균형감 있게 맞추는 것에 있습니다. 주변 부동산시장은 인근에 위치한 건국대학교와 종합병원 그리고 지하철역으로 인해, 가족단위의 주거시장보다 1인 주거형태; 원룸 주거시장이 활발한 지역입니다. 살기위한 집을 만듭니다. 좋은 집의 보편적 가치기준은 합리적 기능과 쾌적한 거주공간 구현에 있습니다. 임대주거와 단독주거의 가치기준 또한 다르지 않습니다. 건축주 본인이 살아도 좋은 집을 만들어 달라는 건축주의 요청처럼 임차인에게도 좋은 거주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이번 프로..
-
HOUSE_ㄹ: 리을
GUNZA SINGLE-FAMILY HOUSE_ 군자동 단독주택 'ㄹ:리을집' 도심지에서 집을 짓는 것은. 사각형 땅에 사각형 집을 짓는 것은 가장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여기에 동선계획은 공간이 낭비되지 않도록 공간과 동선을 하나의 줄기로 연결하는 선형계획을 함께 계획합니다. 하지만 대지가 불규칙적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제약조건이 발생하는 도심지에서는 (합리적인) 사각형 집을 만들기 어렵습니다. 공간과 동선이 선형으로 배치될 때 발생하는 긴 회유동선 또한 고민해야 될 문제 입니다. 첫번째, 필요공간에 순서를 매긴다. 두번째, 대지형태와 필요순서에 따라 공간을 배열한다. 대지에 벗어 나지 않도록 공간을 구부려, 순서대로 배치한다. 세번째, 대지에 맞추어진(fitting) 공간을 순서대로 연결하는 선형 동..
-
wellmade_12
DONGSAN MULTI-FAMILY HOUSE_ 동산동 다가구주택 '열두집' wellmade_12 SITE: 스타필드(고양) 건너편에 위치한 동산동은 전원마을의 풍경과 조금씩 바뀌고 있는 도시풍경이 나란히 공존하는 곳입니다. 도시계획에 따라 하나둘씩 다세대 건물들이 들어서고 있지만, 사업성에만 치우친 다세대 건물들이 들어서고 있어, 조금은 아쉬운 점도 있는 곳입니다. CONCEPT: 틔움건축은 임대 및 분양건물에서 사업성과 거주성은 같은 방향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거건물이라는 전제를 기본으로 거주성이 향상된 건물은 사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물론 특정한 사용자가 정해지지 않은 다세대 주택에서는 전체 사업방향과 발 맞추어 좀 더 보편적인 기준으로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획이 진행됩니다. 위와 같..
-
CHA.UM_Building
방배동 상가주택_차움빌딩 +도시풍경. 정비구역 해제 이후 급속도로 변화하는 이곳 풍경은 다양한 주거 형태의 공존보다 시장원리에 따라 임대와 분양을 위한 다세대 주택으로 채워지고 있다. 도시가 성장하면서 도시풍경이 바뀌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지만, 획일적으로 변화하는 이 곳의 도시풍경에 붉은 벽돌 2층 양옥집, 단독주택지의 동네 이미지를 기억하는 건축주를 위해 동네가 만들어져 가는 흐름 속에 조금은 다른 도시풍경의 시간을 이어보고자 한다. 수익성을 확보하며 단독주택으로서 인지될 수 있는 건물, 붉은벽돌 베이지색으로 인지되는 가로 분위기의 연결 이 두가지 키워드로 틔움만의 조금은 다른 시선을 만들어 보고자 한다. 설계과정보기-->CLICK +건축개요. 건축사무소 Architects (디자인 사무소 Desi..
-
HOUSE_네묘집
GALHYEON SINGLE-FAMILY HOUSE_ 갈현동 협소주택 '네묘집' 0> 들어가기 근래에 협소주택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아 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협소주택을 만들고 싶어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많은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적절한 비용으로 한정된 공간에 맞춤 공간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한정된 공간을 어떤 방식으로 설계해야 할까요? 선택과 집중을 통해 거주자에 맞는 용도별 공간의 크기를 설정하고 공간을 넓게 또는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중첩시키는 설계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중첩된 공간은 각 정주공간을 연계 또는 분리시키며, 확장된 장면을 만듭니다. 공간을 중첩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 계단과 단차공간(하나의 공간으로 인지되는 높이차이)을 주거 내부에 적용합니다...
-
SEGOK_'삶가구주택'
SEGOK MULTI-FAMILY HOUSE_ 세곡동 다가구주택 '삶가구주택' *만남: 건축주와 틔움건축의 시작점 아파트에 길들여진 사람들, 과거와 달리 편리한 주거형태를 맛본 사람에게 단독주거란 어떤 공간일까? 보편적 기준에 맞추어진 (일정 기준이상이 되는) 공간보다 나은 주거는 무엇일까? 틔움건축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일반적인 공간에서 발현되지 못한 고유한 공간 추구입니다. 개인의 삶과 생활을 담을 수 있는 맞춤공간의 시작입니다. 소소하게라도 현재 생활에 꼭 맞는 공간을 만드는 일입니다.(현재의 공간과 미래의 시간을 함께 담는다.) 건축주 두번째 집 (세곡 3가구주택)은 그렇게 시작합니다. 개인에게 맞춥니다. 보편적 가치를 충족합니다. 효용성과 값어치를 가집니다. 건축주의 투자와 시간을 소중히 담습니..
-
HOUSE_'소소담담'
GEUMHO SINGLE-FAMILY HOUSE 금호동 협소주택 '소소담담' 금호동 협소주택 소담한 이야기. 협소주택의 지향점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태생적으로 욕심 부릴 수 있는 공간은 아니다.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하고, 그 선택을 함축적으로 잘 풀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으로 작은 공간이기 때문에 생활을 단순히 해야 한다: 심플라이프) 선택과 집중에 따른 포기의 댓가로 거주자에게 최대한 맞춘 공간을 설계한다. 간결한 어휘로 생활의 다양한 면을 담도록 한다. 거주자의 생활치수를 반영하되, 범용치수를 넘지 않은 중심을 잡아 담담히 풀어 낸다. 어휘와 디자인이 범람할수록 집은 어려워 지고 공간은 작아진다. 그래서 소극적으로 건축을 한다. 금호협소주택을 읽기전 알아두면 좋은 특이점. -15평 대지..
-
IRENE HOUSE
SEOHYEON SINGLE-FAMILY HOUSE_ 서현동 협소주택 '아이린하우스' 두개의 집 분당구 서현동 자연취락지구, 남북측 도로를 따라 길쭉한 대지. 호리병박 같이 생긴 대지의 남쪽에 바닥면적 10평 협소주택이 시작된다. 기존 건물이 북측에 위치하여 별동으로 증축을 진행한다. 바닥면적은 최대 10평, 연면적은 30평 가량 지을수 있다. 협소주택 현재 이에 대한 뚜렷한 정의는 없다. 이전부터 소규모 주택은 있었다. 현재 원룸으로 불리는 주거도 있다. 그런데 현재 주거시장에서 협소주택으로 불리는 주거는 무엇인가? 정량적 크기로 정의하기에는 모호하지만. 나름 정의를 하면, 국민주택 규모의 크기와 내용을 포함한 단독주거 형태가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적층된 형식이라 생각된다. 조금 더 풀어서 이야기 하면..
-
853_Building
WONJU '853' Building_ 원주 근린상가 '853빌딩' 여덟가지 이야기와 다섯개층 그리고 세개의 얼굴에 대한 이야기; 팔.오.삼. 빌딩 팔. -위치: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함께 운영되는 원주버스터미널, 원주시 단계동에 위치한다. 편리한 대중교통, 시내 상권에 가까운 이점이 있다. -도시환경: 도시활력을 불어 넣는 장미공원과 마주한다. 도시 속 공용공간과 상공간은 밀착될수록 서로를 상승시킨다. -가로환경: 이웃한 건물을 제외한 3면에서 도로와 만난다.(두개의 교차와 접한다.) 노출빈도가 높아, 보행자 접근 및 차량접근이 용이하다. -가로와 연결: [남측] 1층을 반층 올린 후,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동선을 만든다. (서측과 북측에 비해 유동인구가 적다.)[서측] 건물의 장축, 1층 (상가..
-
HADONG_'소보루'
HADONG GUESTHOUSE_ 하동 농가주택 '소보루' INTRO 건축주와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서울에 위치한 아파트에 대한 기억 이외, 전원생활의 기억은 없습니다. 모든 것이 낯설고 생소하기만 합니다. 익숙한 것과 낯선것, 그리고 필요한 것과 불필요한 것을 지금 공간에서 구분했습니다. 적극적인 복원과 버리기, 그렇게 정리된 바탕 위에 건축주의 요구조건과 생활을 담았습니다. 부족한 공간은 현재 공간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건축어휘를 통해 연결하기로 했습니다. 안채와 부속채 건축주의 안정적인 전원생활을 위한 안채, 현지 관광 및 숙박을 위한 부속채로 구분했습니다. 다른 방향에서 만나기로 했습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현재 생활을 담기에 안채의 공간은 부족합니다. 새로운 공간이 덧..
ARCHITECTURE MODEL
-
[ARCHITECTURE MODEL] SOJU Residences 2023.03.24 21:41
-
[ARCHITECTURE MODEL] BowHouse 2023.03.24 21:32
-
[ARCHITECTURE MODEL] Shingil house 2022.09.02 14:41
-
[ARCHITECTURE MODEL] Itaewon house 2022.08.19 17:27
-
[ARCHITECTURE MODEL] House_'Flat White' 2022.07.19 15:46
-
[ARCHITECTURE MODEL] House_'정미소' 2022.06.07 14:21
-
[ARCHITECTURE MODEL] Teapyeong 2021.06.29 22:58
-
[ARCHITECTURE MODEL] REAM HOUSE 2021.06.29 22:56
-
[ARCHITECTURE MODEL] 오금동_레이어드 2021.06.29 22:54
-
[ARCHITECTURE MODEL] House_'장임유가' 2021.06.29 22:50
-
[ARCHITECTURE MODEL] HOUSE_‘이이공(利怡共)’ 2021.06.29 22:43
-
[ARCHITECTURE MODEL] JAYANG_‘243’ 2021.06.29 22:27
-
[ARCHITECTURE MODEL] HOUSE_ㄹ:리을 2021.06.29 22:23
-
[ARCHITECTURE MODEL] Chalimjae_1 2021.06.29 22:01
-
[ARCHITECTURE MODEL] Chalimjae_2 2021.06.29 22:05
-
[ARCHITECTURE MODEL] wellmade_12 2021.06.29 21:55
-
[ARCHITECTURE MODEL] CHA.UM_Building 2021.06.29 21:52
-
[ARCHITECTURE MODEL] ITAEWON_BUILDING 2021.06.29 21:48
-
[ARCHITECTURE MODEL] HOUSE_네묘집 2021.06.29 21:41
-
[ARCHITECTURE MODEL] SEGOK_‘삶가구주택’ 2021.06.29 21:34
-
[ARCHITECTURE MODEL] HOUSE_‘소소담담 2021.06.29 21:29
-
[ARCHITECTURE MODEL] IRENE HOUSE 2021.06.29 21:19
PUBLICATIONS
-
[archdaily] triangle house / TIUM Architects
아키데일리 태평동주택 온라인기사보러가기
2022.08.23 14:14 -
[전원속의내집]월간매거진 : 태평동_단독주택 '슴 (여서재)'
[HOME & GAREDN LIFESTYLE MAGAZIEN] 2022.07 / VOL.281 / P.50 [전원속의 내집] 2022.07 네이버포스트 온라인기사 바로가기
2022.07.04 15:35 -
[브리크매거진]_brique Vol.5 : 자양동 다가구주택_'243'
Vol.5 (2020년 가을,겨울 합본호) / SPACE P.130 자양동 다가구주택 243(이사삼) 온라인 기사 바로가기
2020.11.24 14:22 -
[전원속의내집]월간매거진: 협소주택, 단독주택 리포트
[LIFESTYLE MAGAZIEN] 2019.12 / VOL.250 / P.106 [전원속의 내집] 2019.12 네이버포스트 온라인기사 바로가기
2019.12.11 19:04 -
[MARU] 매거진: 갈현_협소주택'네묘집'
[MARU] NO.205 / 2019.04월호 / P.84
2019.04.08 14:49 -
[전원속의내집]월간매거진: 갈현동_협소주택'네묘집'
[LIFESTYLE MAGAZIEN] 2019.03 / VOL.241 / P.94 [전원속의 내집] 2019.03 네이버포스트 온라인 기사 바로가기
2019.03.18 22:02 -
[중앙선데이]주간지: 금호동_협소주택'소소담담'
[S MAGAZINE] FEB 4~5 2018 / no.569 / p.09
2019.03.11 14:52 -
[데코저널] 월간잡지: 하동_농가주택'소보루'
[데코저널] 2017년 8월호 / Vol.265. / p.161
2019.03.11 14:25 -
[전원속의 내집]월간매거진: 금호동_협소주택'소소담담'
[전원속의 내집] 2018년 1월호 / Vol.227 / p.140 [전원속의 내집] 2018.01_네이버 포스트 온라인 기사바로가기
2019.03.09 03:21 -
[엘르데코] 매거진: 하동_농가주택'소보루'
[엘르데코] 2016년 / NO.22 FALL;WINTER. / p.136
2020.08.19 20:06
NEWS
-
[서초구 건축사회 소식지] article: 건축사의 암묵지
[서초구 건축사회 소식지] vol.244_2022.05
2022.05.20 18:30 -
[대한건축사협회_건축사신문] article: 용기가 만드는 가치
[대한건축사협회_건축사신문] 2021.08.06 article
2021.08.06 20:36 -
[한국일보_집 공간 사람] article: 당산동_협소주택 '이이공(利怡共)'
[한국일보_집 공간 사람] 2020.10 article
2020.10.21 13:22 -
당산동_협소주택 '이이공(利怡共)' : 우리동네좋은집 찾기. 동상 수상
서울특별시건축사회가 주최한 ' 서울,건축산책_제5회 건축사와 함께하는 우리동네 좋은집 찾기(Small, but Good)[준공부문]에서 틔움건축이 설계한 '당산동_협소주택 '이이공(利怡共)'' 이 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건축주분과 시공자(플레닝뷰)에게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전시장 가기
2020.10.21 13:08 -
[월간 SPACE(공간)] article: 당산동_협소주택 '이이공(利怡共)'
[월간 SPACE(공간)] 2020.08 article
2020.08.19 21:57 -
차움빌딩: 서초건축상, 우수상 수상
서초구에시 시행하는 '2019 서초건축상'에서 틔움건축이 설계한 '차움빌딩'이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건축주, 설계자, 시공자에게 공동으로 수여하는 건축상이라서 그 의미가 더 뜻 깊었습니다. 2019 서초건축상 작품 바로가기
2019.12.18 12:35 -
[아키데일리]article: 하동_농가주택'소보루'
[archdaily] 2017.03 온라인기사 바로가기
2019.03.12 20:52 -
[전원속의내집]네이버포스트: 세곡동_다가구주택'삼가구주택'
[전원속의내집] 2017.11 네이버포스트 온라인기사 바로가기
2019.03.12 20:46 -
[메거진 브리크] article: 서현동_협소주택'아이린하우스'
[매거진브리크] 2017.06 온라인 아티클
2019.03.11 14:59 -
[매거진 브리크] article: 쌍문동_노후주택리모델링 '알리샤하우스'
[매거진 브리크] 2017.06_온라인 아티클
2019.03.09 03:32
CONTACT
-
About TIUM Architects
'틔우다' '틔움건축'은 작은 씨앗이 싹을 틔우며 나무가 되듯이, 당신의 건축을 함께 틔우는 건축가 집단의 이름입니다. '젊은 건축가가 모인 틔움건축은 생명력이 긴 건축을 틔웁니다.' '도시, 마을의 담담한 풍경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건축을 틔웁니다.' '삶의 이야기가 담긴 공간작업을 틔웁니다.' 차석헌 소장(대표), 강성진 소장, 이동진 소장-3명의 보편적이며, 합리적인 건축설계를 바탕으로 일상속에 새삼스러운 공간 및 디자인을 추구합니다. (새삼-스럽다「1」 【…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에 대하여 느껴지는 감정이 갑자기 새로운 데가 있다.) 이를 위해, 순간의 생각보다 일상성 및 지속성, 건축주와 호흡하는 과정 속에서 발현되는 건축어휘와 공간을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2015년에 시작된 틔움건축은 다세..
2020.08.19 22:17 -
예비 건축주를 위한 질문지_Questionnaire
그래서 틔움은.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건축가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협업이 필요합니다. 건물은 혼자서 지을 수 없습니다. 관계분야가 긴밀하게 협조할때, 건축주가 그리는 건물에 한발 더 가까워 집니다. 이를 위해 틔움건축은 건강한 생태환경; 비즈니스 환경을 지향합니다. 시작과 끝이 건강한, 그래서 건축주와 건축가 그리고 시공자가 함께 만족하는 건강한 건물을 짓고자 합니다. 이번페이지는. 예비 건축주를 위한 첫 단추, 틔움건축과 소통하는 첫 창구 역활을 합니다. 처음이라 구체적인 생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여러루트를 통해 알아본 다양한 정보와 수많은 사례 이미지를 갖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비 건축주 입장에서 시작점을 알 수 없는 막연함을 이해합니다. 조각 퍼즐을 맞추는 첫 작업,..
2020.08.24 20:57 -
Contact
TIUM Architects Design 건축사사무소 틔움 : 틔움건축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914-7 차움빌딩 B01 (방배로 11길 36) Homepage _ www.tiumdesign.com Blog _ blog.tiumdesign.com Tel _ 02-6449-7880 Fax _ 0303-3445-7880 E-mail _ tium@tiumdesign.com
2020.08.26 15:02